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1월 4주차 회고 (견본)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1월 4주차 회고 (견본)
  • Loading branch information
unchaptered authored Jan 31, 2024
2 parents fcfb405 + 6d89bf8 commit 369d40e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17 changed files with 237 additions and 2 deletions.
Empty file added docs/playhuck/.gitattributes
Empty file.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3_회고_0.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3_회고_1.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3_회고_2.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8 @@
몇주 전, 회사에서 @playhuck이 네트워크 책을 추천해달라고 하셨다.

나도 작년 9월에 IT 단톡방에서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를 추천받아서 읽었던 기억이 있었다.

<image src="2024-01-23_회고_0.png" style="width: 200px;">
<br>

**네트워크 제대로 공부해보자**란 마음으로 책을 펼쳤고 실제로는 3~4일 정도만 열심히 읽었던 것 같다.

<image src="2024-01-23_회고_1.png" style="width: 800px;">
<br>

사실상 공부라기 보다는 필기에 가가웠는데, 아래 같은 이유 떄문이었다.

1. 대부분의 내용을 정리하고 기록하는 필기 방식

a. 어차피 난 이걸 다시 볼 인간이 아니다.

2. 영어로 하는 필기

b. 영어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는 시간이었지만, 시간 대비 큰 효용은 없었다.

<image src="2024-01-23_회고_2.png" style="width: 300px;">
<br>

그래서 이번에는 편하게 읽고 DIL을 남기는 방식으로만 하기로 했다.

완독할 수 있으면 좋겠다.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4_회고_0.jp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8 @@
오늘까지 **[2장] 네트워크 연결과 구성 요소**를 읽었다.

| playhuck이 강추한 스탠리텀블러 찰칵

<image alt="스탠리 텀블러 찰칵"
src="./2024-01-24_회고_0.jpg"
style="width:300px;"/>

[1장] 같은 경우는 AWS SAA Study Guide를 공부하면서 여러 모로 알고 있는 지식을 되새기는 좋은 시간이었다.

다만, [2장]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들이 많아서 전공 교양을 듣는 느낌으로 읽었던 같다.

부담감을 줄이니까 그냥 재밌고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조만간 필요에 따라 사내 VPN을 설정해야 할 것 같다.

그 때, 관련 장비나 IEEE 표준 등에 대해서 살펴보면 깔끔할 것 같다.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5_회고_0.jp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5_회고_1.jp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6 @@
오늘까지 **[3장] 네트워크 통신하기**를 읽었다.

| 어제 공용공간이 약간 소란스러워서, 이번에는 회의실에서 playhuck과 스터디 찰칵

<image alt="회의실이 8층 M27? M25?"
src="./2024-01-25_회고_0.jpg"
style="width:200px;" />
<image alt="서브네팅 좋아!"
src="./2024-01-25_회고_1.jpg"
style="width:200px;" />

2년 전, 취업을 준비하면서 DNS 쿼리 질의 과정에 대해서 공부했던 기억이 있다.

`https://naver.com`으로 쿼리 질의를 보내면 TLD 최상위 네임서버인 .com 부터 질의가 시작된다.

이후, 할당된 네임서버 들을 통해서 Public IPv4 Address를 찾고 요청이 라우팅 될 것이다.

<br>

하지만 1년 전, 클라우드와 네트워크 공부를 하면서 2게층, **Data Link Layer에서 필요한 MAC Address는 어떻게 가지고 있는거지?**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Pulbic IPv4 혹은 DNS Domain 쿼리 질의를 보내는 시점에는 MAC Address를 알 수 없을 테니 올바른 2계층에 전달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애초에 2계층, 3계층 간의 관계성이 없어보이는데 착각인가?**라는 생각도 있었다.

<br>

이 궁금증은 **[3장] 네트워크 통신** 후반부에서 해결할 수 있었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는 동작이 네트워크 게층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ARP, GARP, RARP, 클러스터링-FHRP(VRRP, HSRP) 등의 기능이 작동하고 있구나... 라는 정도의 느낌이었다.

<br>

아쉬운 점은 TCP, UDP 트래픽을 **브로드캐스트 상태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와이어샤크로 이런 ARP 과정을 볼 수 있는 예제가 없다 정도였다.

이번 책 스터디가 끝나면 [IT보안을 위한 와이어샤크 네트워크 패킷 분석 실전](https://www.inflearn.com/course/wireshark_boanproject#reviews)를 배운 다음, 다시 한 번 스스로 실습을 하면서 읽어보면 이해도가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했다.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1 @@
**[3장] 네트워크 통신하기**에서 남은 2페이지부터 **[4장] 스위치 L2장비**까지 읽었다.

[2024-01-25_회고_[3장] 네트워크 통신하기](./2024-01-25_[3장]%20네트워크%20통신하기.md)에서 DNS 시스템과 MAC Address에 대해서 꺠달음을 얻은 것 처럼 써놨었다.

그런데 **[4장] 4계층 L2장비**에서 L2 장비를 통해서 ASP 통신을 보내고 MAC Address를 매핑한다는 부분이 나왔었다.

서로 관계없는 부분을 연관해서 생각했던 걸까?

<br>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별도로 알아봐야 할 것 같다.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9_회고_0.jp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9_회고_1.jp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docs/unchaptered/2024-01-29_회고_2.jp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74 @@
**[5장] 라우터 L3 스위치 3계층 장비**에 대해서 배웠다.

| playhuck님이랑 매일 점심에 조용한 회의실에서 읽고 있다. 하지만 오늘은 조금 이슈가 있어서 각자 집에가서 읽기로 하였다. 모르는 내용을 다 찾아보면 `절대로` 완독을 못할 거라고 생각해서 빠르게 1회독 하려는 전략이 나쁘지 않은 것 같다.

<img alt="공부"
src="./2024-01-29_회고_0.jpg"
style="width: 330px;"/>
<img alt="시작 시간"
src="./2024-01-29_회고_1.jpg"
style="width: 150px;"/>
<img alt="종료 시간"
src="./2024-01-29_회고_2.jpg"
style="width: 150px;"/>

4, 5장 모두 `스위치`라는 말이 나와서 처음에 조금 혼란스러웠다.

이 부분은 `0계층 장비`에 집중해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해가 편했다.

2계층(Data Link Layer)에서 배운 점은 MAC Address와 관련된 네트워크 통신을 주체하는 장비인 `스위치`에 대해서 배웠다.

그렇다면 3계층(Network Layer)는 IP Address와 관련된 네트워트 통신과 관련된 내용일 것입니다.

| _최근에 서비스 전체를 Terraform으로 배포하면서 Route Table, Route, Route Table Association 등을 코드 레벨에서 정의한 경험이 있어서, 조금이나마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_

<br>

3계층에서 중요한 요소는 `라우터`이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1. 경로 지정
2. Broadcast Control, Multicast Control -> 이 내용은 [3장] 네트워크 통신하기 73~74p에 나왔습니다.
3. 프로토콜 변환

<br>

그 중에서도 **104p 5.2.1. 라우팅 동작과 라우팅 테이블** 부분을 일곡 나니 기존에 Rout Table, Route, Route Table Association이 진짜 무식한 방식(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냥 RTB 1개에 IGW 1개 딱, 다른 RTB 1개에 NAT 1개 딱 깔았기 떄문에 SPoF 상태가 된 것 같다.

<br>

그래도 유익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Route는 Next Hob이라는 방식으로 연동이 되어 있다는 부분이었습니다.

지금까지는 Public Subnet에 IGW와 나머지는 전부 암묵적으로 찾아가도록 설치해놓은 것 같습니다.

아마 성능 상 개선을 하기 위해서라면 여러 개의 Router를 두고 직접적으로 Direct Connected 혹은 Static Routing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아보였습니다.

이 부분은 별도로 AWS 환경에서 실습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br>

지금까지 말한 부분이 라우터의 `라우팅` 부분이었습니다.

또 색다른 부분은 `스위칭`이라는 부분이었는데, 라우터가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였습니다.

다만 이 부분은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2회독이나 Network Traffic Trace 혹은 Wireshark로 패킷 뜯어보면서 보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지 않을까? 란 생각이었습니다.

<br>

남은 부분...

1. 스위칭이 먼저 된다.
2. 라우팅은 관리 거리(AD), 코스트(비용 계산은 또 수많은 알고리즘이...), 부하 분산(ECMP; 역시 수많은 알고리즘이...)

<br>

전체적으로 [4장] [5장]을 보면서 느낀 건데, 하위 계층으로 내려갈수록 생소한 것 같습니다.

아마도 7계층에서 로드 밸런서를 위주로 실습 혹은 업무를 진행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 하지만 2계층, 3계층 실습은 대체 어떻게...?

| 그나마 4계층 NLB(Network Load Balancer)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대부분의 지식들이 그물망처럼 연결될테니까,,, 이대로 킵 고잉 하다보면 괜찮을지도...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8 @@
**[5장] 라우터 L3 스위치 3계층 장비**에 대해서 배웠다.

| playhuck님이랑 매일 점심에 조용한 회의실에서 읽고 있다. 하지만 오늘은 조금 이슈가 있어서 각자 집에가서 읽기로 하였다.

![공부](20240129_220637.jpg)
![시작 시간](<Screenshot_20240129_220835_One UI Home.jpg>)
![종료 시간](<Screenshot_20240129_223845_One UI Home.jpg>)

4, 5장 모두 `스위치`라는 말이 나와서 처음에 조금 혼란스러웠다.

이 부분은 `0계층 장비`에 집중해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해가 편했다.

2계층(Data Link Layer)에서 배운 점은 MAC Address와 관련된 네트워크 통신을 주체하는 장비인 `스위치`에 대해서 배웠다.

그렇다면 3계층(Network Layer)는 IP Address와 관련된 네트워트 통신과 관련된 내용일 것입니다.

| _최근에 서비스 전체를 Terraform으로 배포하면서 Route Table, Route, Route Table Association 등을 코드 레벨에서 정의한 경험이 있어서, 조금이나마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_

<br>

3계층에서 중요한 요소는 `라우터`이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1. 경로 지정
2. Broadcast Control, Multicast Control -> 이 내용은 [3장] 네트워크 통신하기 73~74p에 나왔습니다.
3. 프로토콜 변환

<br>

그 중에서도 **104p 5.2.1. 라우팅 동작과 라우팅 테이블** 부분을 일곡 나니 기존에 Rout Table, Route, Route Table Association이 진짜 무식한 방식(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냥 RTB 1개에 IGW 1개 딱, 다른 RTB 1개에 NAT 1개 딱 깔았기 떄문에 SPoF 상태가 된 것 같다.

<br>

그래도 유익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Route는 Next Hob이라는 방식으로 연동이 되어 있다는 부분이었습니다.

지금까지는 Public Subnet에 IGW와 나머지는 전부 암묵적으로 찾아가도록 설치해놓은 것 같습니다.

아마 성능 상 개선을 하기 위해서라면 여러 개의 Router를 두고 직접적으로 Direct Connected 혹은 Static Routing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아보였습니다.

이 부분은 별도로 AWS 환경에서 실습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br>

지금까지 말한 부분이 라우터의 `라우팅` 부분이었습니다.

또 색다른 부분은 `스위칭`이라는 부분이었는데, 라우터가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였습니다.

다만 이 부분은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2회독이나 Network Traffic Trace 혹은 Wireshark로 패킷 뜯어보면서 보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지 않을까? 란 생각이었습니다.

<br>

남은 부분...

1. 스위칭이 먼저 된다.
2. 라우팅은 관리 거리(AD), 코스트(비용 계산은 또 수많은 알고리즘이...), 부하 분산(ECMP; 역시 수많은 알고리즘이...)

<br>

전체적으로 [4장] [5장]을 보면서 느낀 건데, 하위 계층으로 내려갈수록 생소한 것 같습니다.

아마도 7계층에서 로드 밸런서를 위주로 실습 혹은 업무를 진행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 하지만 2계층, 3계층 실습은 대체 어떻게...?

| 그나마 4계층 NLB(Network Load Balancer)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대부분의 지식들이 그물망처럼 연결될테니까,,, 이대로 킵 고잉 하다보면 괜찮을지도...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scripts/auto-pr.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79,7 +79,7 @@ def getPullRequestTemplate(
print(out)

pullRequestBody = f"""
[제목] [가제] 변경 필요
[제목] N월 N주차 회고
[기여자] {','.join(commiterList)}
[내용]
Expand Down Expand Up @@ -111,7 +111,7 @@ def getPullRequestTemplate(
labelList = list(set(labelList))

githubPrTemplate: GitHubPrTemplate = {
'title': '[가제] 변경 필요',
'title': 'N월 N주차 회고',
'body': pullRequestBody,
'labelList': labelList,
'assigneeList': commiterList
Expand Down

0 comments on commit 369d40e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