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2024-02-17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Lim committed Feb 17, 2024
1 parent dfb922e commit 54c40a0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3 changed files with 67 additions and 0 deletions.
Binary file added docs/sk-lim19f/2024-02-16.JPE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docs/sk-lim19f/2024-02-17.JPE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67 changes: 67 additions & 0 deletions docs/sk-lim19f/2024-02-17.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7 @@
## 7.3 GSLB

- DNS 로드밸런싱
- DNS에서 동일한 레코드 이름으로 서로 다른 IP 주소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음
- 도메인 질의에 따라 응답받는 IP 주소를 나누어 로드밸런싱 가능
- DNS는 설정된 서버스 상태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도메인에 대한 질의에 대해 설정된 값을 무조건 응답
- 특정 서비스에 문제가 있을 때 DNS 서버는 이것을 감지하지 못해 사용자의 도메인 질의 요청에 비정상 상태인 서비스 IP 주소를 응답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음
- 즉 DNS 서버는 서비스 가용성 향상 방법으로는 부적합
- GSLB는 DNS와 동일하게 도메인 질의에 응답해주는 역할과 동시에 로드 밸런서처럼 등록된 도메인에 연결된 서비스가 정상적인지 헬스 체크를 수행
- 즉, 등록된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가 정상인지 상태를 체크해 정산인 레코드에 대해서만 사용
- 이런 이유로 GSLB를 '인텔리전스 DNS'라고도 부름

### 7.3.1 GSLB 동작 방식

1. 사용자가 web.zigispace.net에 접속하기 위해 DNS에 질의
2. LDNS는 web.zigispace.net을 관리하는 NS 서버를 찾기 위해 root부터 순차 질의
3. zigispace.net을 관리하는 NS 서버로 web.zigispace.net
4. DNS 서버는 GSLB로 web.zigispace.net에 대해 위임했으므로 GSLB 서버가 NS 서버라고 LDNS에 응답
5. LDNS는 다시 GSLB로 web.zigispace.net에 대해 질의
6. GLSB는 web.zigispace.net에 대한 IP 주솟값 중 현재 설정된 분산 방식에 따라 서울 또는 부산 데이터 센터의 IP 주솟값을 DNS에 응답
서울과 부산 데이터 센토로 헬스 체크해 정상적인 값만 응답
7. GSLB에서 결괏값을 응답받은 LDNS는 사용자에게 web.zigispace.net이 1.1.1.1로 서비스하고 있다고 최종 응답

- GSLB는 zigispace.net이라는 FQDN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단순히 갖고 있다가 응답해주는 것이 아니라 헬스 체크를 통해 해당 IP가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
- 정리하면 GSLB는 앞의 동작 방식처럼 일반 DNS를 사용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게 동작
- 다만 GSLB에서 서비스 IP 정보에 대한 헬스 체크와 사전에 지정한 다양한 분산 방법을 이용한 부하 분산이 일반 DNS와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음

### 7.3.2 GSLB 구성 방식

- GSLB를 사용한 도메인 설정방법은 두가지가 있음
- 도메인 자체를 GSLB로 사용
- 도메인 자체를 GSLB로 사용하면 해당 도메인에 속하는 모든 레코드 설정을 GSLB 장비에서 관리
- 즉, 도메인에 대한 모든 레코드를 GSLB에서 설정
- 도메인 자체를 GSLB로 사용하는 것은 도메인에 대한 네임 서버를 GSLB로 지정하고 GSLB에서 도메인에 대한 모든 레코드를 등록해 처리하는 방식
- 즉, GSLB 자체가 도메인의 네임 서버 역할을 하는 경우
- 도메인 내의 특정 레코드만 GSLB로 사용
- DNS에서 도메인 설정 시 GSLB를 사용하려는 레코드에 대해서만 GSLB로 처리하도록 설정
- 회사 대표 도메인에 속한 레코드 중 GSLB 적용이 불필요한 경우가 많아 도메인 내의 특정 레코드에 대해서만 GSLB로 처리를 이관하는 방식을 사용
- 특정 레코드에 대해서만 GSLB로 처리를 이관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음
- 별칭(Alias) 사용(CNAME 레코드 사용)
- 일반적으로 외부 CDN을 사용하거나 회사 내부에 GSLB를 사용해야 할 도메인이 많은 경우 한꺼번에 관리하기 위해 사용
- DNS 서버에 CNAME 레코드로 CDN과 같은 외부 GSLB를 지정하면 CNAME 레코드의 값으로 등록된 FQDN을 GSLB로 재질의해 서버를 찾아가게 됨
- 즉, CNAME 값으로 등록되는 FQDN이 GSLB가 네임 서버로 등록된 도메인을 사용해 GSLB로 재질의하게 만드는 것
- 위임(Delegation) 사용(NS 레코드 사용)
- 실제 도메인과 동일한 도메인 레코드를 사용하며 도메인 전체를 위임하는 것이 대표적
- DNS에서 특정 FQDN에 대한 설정을 NS 레코드로 설정하면 해당 FQDN에 대한 값을 NS 레코드의 값으로 설정된 네임 서버로 재질의
- 이때 NS 레코드에 지정된 네임 서버가 GSLB
- 이렇게 NS 레코드를 이용한 위임으로 재질의하는 경우, 최초 요청한 FQDN을 그대로 재질의하므로 GSLB에서 관리되는 도메인은 사용자가 최초 호출하는 동일한 FQDN이 됨
- 정리하면 별칭을 이용해 GSLB를 사용하는 경우, CDN처럼 GSLB를 운영해주는 외부 사업자가 있거나 GSLB를 사용해야 하는 도메인이 매우 많은 경우, 별도의 GSLB를 운영하기 위해 사용
- 위임의 경우에는 DNS와 같은 도메인으로 GSLB를 운영하면서 계층적으로 GSLB를 이용한 FQDN을 관리할 때 사용
- 많은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NS와 CNAME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함

### 7.3.3 GSLB 분산 방식

- GSLB를 이용해 서비스를 분산하면 다음과 같은 주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
- 서비스 제공의 가능 여부를 체크해 트래픽 분산
-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데이터 센터에 트래픽 분산
- 지역적으로 가까운 서비스에 접속해 더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분산
- 서비스 헬스 체크를 통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 외에 서로 다른 사이트로 서비스를 분산시키는 것이 GSLB의 중요한 역할
- 이를 위해 GSLB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이나 최소 접속(Least Connection), 해싱(Hashing) 방식 외에 추가적인 분산 방식을 제공
- 대부분 다음 두가지 헬스 체크 모니터링 요소를 지원
- 서비스 응답 시간/지연(RTT/Latency)
-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 얼마나 빠른지 또는 지연이 얼마나 없는지를 확인하고 이것을 이용해 서비스를 분산 처리
- IP에 대한 지리 정보
-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각 사이트의 IP 주소에 대한 Geo 값을 확인해 가까운 사이트로 서비스 분산을 처리
- 위의 두가지 요소에 따른 분산 방법은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다음과 같음
- 서비스가 가능한 사이트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것은 물론 더 신속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

0 comments on commit 54c40a0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