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Update 2024-02-22_[7장] DNS.md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playhuck authored Feb 22, 2024
1 parent 633fdd2 commit ed18d09
Showing 1 changed file with 236 additions and 3 deletions.
239 changes: 236 additions & 3 deletions docs/playhuck/2024-02-22_[7장] DNS.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15 +1,248 @@
<img src="https://github.com/monthly-cs/2024-01-network/assets/105256335/1c32c3f1-c04b-4151-9a5f-3538a1e4a30b">

### 7.2 DNS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크게 두 가지이다.

- 실제로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데이터 프로토콜
- 데이터 프로토콜 제어를 도와주는 컨트롤 프로토콜
1. 실제로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데이터 프로토콜
2. 데이터 프로토콜 제어를 도와주는 컨트롤 프로토콜

TCP/IP 프로토콜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주요 컨트롤러 프로토콜은 ARP / ICMP / DNS가 있다.

이 중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1. **DNS 소개**
- **7.2.1 DNS 소개**


숫자로 구성된 IP 보다 문자열인 도메인 주소가 더 기억하기 쉽다.

서비스를 도메인 주소로 사용하더라도 실제 패킷을 만들어 통신하기 위해서는 3계층 IP 주소를 알아야 하고, 이를 위해 문자열로 된 도메인 주소를 실제 통신에 필요한 IP 주소로 변환하는 DNS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naver.com으로 접속을 클라이언트가 원한다고 치면

1. Client가 DNS 서버로 www.naver.com으로 질의 전송
2. DNS 서버가 Client에게 naver.com의 주소가 202.179.177.21이라고 응답
3. Client는 202.179.177.21라는 IP 주소를 통해 naver.com으로 접속

이라는 흐름으로 DNS 서버를 통해 실제 IP 주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 **7.2.2 DNS 구조와 명명 규칙**


일반적으로 도메인은 계층 구조(Layerd Architecture)다.


역트리 구조로 최상위 루트부터

1. Top-Level 도메인 / com
2. Second-Level 도메인 / naver
3. Third-Level 도메인 / www

도메인은 최대 128 계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계층별 길이는 최대 63바이트다.

**7.2.2.2 Top-Level Domain(TLD)**

최상위 도메인인 TLD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구분한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 Generic (gTLD)

⇒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되는 최상위 도메인, 세 글자 이상으로 구성

- com / 일반 기업체
- edu / 4년제 이상 교육기관
- gov / 미국 연방정부기관
- int / 국제기구
- mil / 미국 연방군사기관
- net / 네트워크 관련 기관
- org / 비영리기관
- country-coded (ccTLD)

⇒ 국가 최상위 도메인, ISO 3166 표준에 의거한 두 글자 국가 코드 사용 한국의 경우 kr을 사용한다.

- sponsored (sTLD)

⇒ 특정 목적을 위한 스폰서를 두고 있는 도메인

- aero
- asia
- edu
- museum
- infrastructure

⇒ 중요한 인프라 식별자 공간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 arpa
- generic-restricted (grTLD)

⇒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이나 단체

- biz
- name
- pro
- test (tTLD)

⇒ 테스트 혹은 개발 단계의 목적으로 사용

- test
- dev


**7.2.3 DNS 동작 방식**

domain을 IP로 변환하려면 DNS 서버에 도메인 쿼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DNS 서버 없이 로컬과 도메인에 IP 주소를 직접 설정해 사용할 수도 있다.

해당 관리 파일을 hosts 파일이라고 한다. hosts 파일에 도메인과 IP 주소를 설정해두면 해당 도메인 리스트는 DNS 캐시에 저장된다.

쿼리를 하면 DNS 서버에 하기 전 항상 DNS 캐시 정보를 먼저 확인한다.

```jsx
ipconfig /displaydns // window dns 캐시 명령
```

DNS는 본인이 가진 db에 정보가 없다면, 분산된 다른 DNS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질의해 결과를 받을 수 있다.

DNS 서버 관점에서 동작을 살펴보면,

1. zigispace.net이라는 도메인을 Client가 DNS 서버에 쿼리
2. [zigispace.net](http://zigispace.net)이 로컬 캐시에 저장되있지 않다면, 사용자 호스트에 설정된 DNS에 zigispace.net 쿼리
3. DNS 서버는 루트 DNS에 다시 쿼리하고 루트 DNS는 .net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DNS 주소 정보를 DNS 서버에 응답
4. 응답 받은 DNS 서버는 .net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 zigispace.net에 대해 쿼리
5. .net을 관리하는 서버는 다시 zigispace.net을 관리하는 DNS에 쿼리
6. 최종적으로 zigispace.net에 대한 결과값 반환
7. 처음 쿼리를 받은 DNS 서버는 이 정보를 Client에 응답

**7.2.4 마스터와 슬레이브**

DNS 서버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서버로 나눌 수 있다.

차이는 도메인에 대한 Zone 파일을 직접 관리하는지 여부다.

마스터 서버는 모든 도메인에 마스터고, 슬레이브는 모두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ide>
💡 액티브-스탠바이와 액티브-액티브

고가용성 기술을 위해 사용하는 구조가 액티브-액티브 / 액티브-스탠바이 이다.

1. 액티브-액티브는 두 개의 노드가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한 노드에 문제가 생긴 경우 다른 노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2. 액티브-스탠바이는 두 개의 노드 중 액티브만 제공하고 스탠바이는 대기하는 형식이다.

</aside>

**7.2.5 DNS 주요 레코드**

도메인의 주요 레코드는 아래와 같다.

1. A (IPv4 호스트) : 도메인 주소를 IPv4로 매핑


하나의 A 레코드에는 한 개의 도메인 주소와 한 개의 IP 주소가 1:1로 매핑된다. 동일 도메인을 가진 A 레코드 여러 개를 만들어 서로 다른 IP 주소와 매핑할 수 있다.

반대로, 다수의 도메인에 동일한 IP를 매핑한 A 레코드를 만들 수도 있다.

2. AAAA (IPv6 호스트) : 도메인 주소를 IPv6으로 매핑


A 레코드와 같음

3. CNAME (별칭) : 도메인 주소에 대한 별칭


대표적인 예로, www가 있다.

4. SOA (권한 시작) : 본 영역 데이터에 대한 권한


도메인 영역 선언 시 SOA 레코드는 필수 항목이다. 도메인 관리에 필요한 속성값을 설정한다.

5. NS (도메인의 네임 서버) : 본 영역에 대한 네임 서버


도메인에 대한 권한이 있는 네임 서버 정보를 설정하는 레코드

6. MX (메일 교환기) : 도메인 메일 서버 정보
7. PTR (포인터) : IP 주소를 도메인에 매핑 (역방향)


A 레코드에 대한 반대로, IP 주소에 대한 질의를 도메인 주소로 응답하기 위한 레코드다.

8. TXT (레코드) : 도메인에 대한 일반 텍스트


도메인에 대한 설명을 달 수 있다. 최대 255자


**7.2.6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것들**

1. 도메인 위임


도메인의 모든 영역은 정보 관리를 위한 네임 서버를 지정하지만, 일부 영역에 대해서 관리하도록 위임하기도 한다.

CDN을 이용하거나 GSLB를 사용하는 것이 그 사례다.


1. TTL


도메인의 TTL은 DNS 질의 후 응답받은 결과값을 캐시에서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TTL 값을 늘려 캐시를 많이 쓰면, DNS 재귀적 쿼리로 응답시간을 줄일 수 있고 네트워크 응답 시간이 줄어들지만, DNS 관련 도메인 정보가 변경됐을 때 TTL 값이 크면 DNS 정보 갱신이 그만큼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TTL이 너무 작으면 DNS 정보 갱신이 빨라져 쿼리량이 늘어나 DNS 서버 부하가 증가한다.

Window Default TTL = 3,600 (1시간)

Linux Default TTL = 10,800 (3시간)


1. 화이트 도메인


블랙리스트의 반대말

2. 한글 도메인


http://한국인터넷진흥원.한국” 처럼 한글로도 주소를 만들 수 있다.

DNS에서 해당 한글을 “퓨니코드”로 변경하고 DNS를 생성해야 한다.


---

### 7.3 GSLB

DNS에서 동일한 레코드 이름으로 서로 다른 IP 주소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하면 응답 IP 주소 따라 로드밸런싱할 수 있다.

하지만, DNS 로드밸런싱은 한계가 존재한다.

DNS는 설정상 서비스 상태의 정상 여부(Health Check)를 확인하지 않고 도메인에 대한 질의에 대해 설정된 값을 무조건 응답한다.

GSLB는 도메인을 이용한 로드 밸런싱을 도와준다.

GSLB는 Health Check를 지원하며 정상인 레코드에 한해 사용하게 도와준다.

- **7.3.1 GSLB 동작 방식**


1. Client가 webSite에 접속하기 위해 DNS에 질의
2. LDNS는 webSite를 관리하는 NS 서버를 찾기 위해, root부터 순차 질의
3. webSite를 관리하는 NS 서버로 질의
4. DNS 서버는 GSLB로 wetSite에 대해 위임 했기 때문에, GSLB 서버가 NS 서버라고 LDNS에 응답
5. LDNS는 다시 GSLB로 webSite에 질의
6. GLSB는 webSite에 대한 IP 주소값 중 현재 설정된 분산 방식에 따라 특정 센터의 IP 주소 값을 DNS에 응답, 이 때에 Health Check를 거쳐 정상인 값만 응답
7. GLSB에서 결과 값을 응답받은 LDNS는 사용자에게 webSite가 1.1.1.1로 서비스하고 있다고 최종 응답

- **7.3.2 GLSB 구성 방식**
- 도메인 자체를 GSLB로 사용 ⇒ Health Check의 과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도메인 내의 특정 레코드만 GSLB를 사용

- **7.3.3 GSLB 분산 방식**
- 서비스 제공의 가능 여부를 체크해 트래픽 분산
-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데이터 센터에 트래픽 분산
- 지역적으로 가까운 서비스에 접속해 더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분산

0 comments on commit ed18d09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