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Jay-Mo-99] Week 6 #898

Open
wants to merge 7 commits into
base: main
Choose a base branch
from
Open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40 changes: 40 additions & 0 deletions container-with-most-water/Jay-Mo-99.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0 @@
 #해석
#s는 start index, e는 ending index로 할당한다.
#area 에 (e-s)*min(height[e], height[s]) 로 면적의 넓이를 구한다.
#만약 height[s]가 height[e] 보다 작다면, 현 area보다 더 큰 결괏값을 위해 변화를 준다.
# (e-s)에서 e를 줄어들면 필연적으로 area 값이 기존보다 적어진다. 따라서 s에 1을 더해 인덱스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height[s] 에 변화를 준다.
#그 외의 상황에는 height[e]를 변화시키기 위해 e에 1를 빼 왼쪽 인덱스로 이동시킨다.
#해당 루프는 s가 e보다 작을때 작용된다. 만약 s의 증가와 e의 감소로 두 변수가 마주치면 종료한 후 max_area를 return시킨다.



#Big O
#- N: height의 element 갯수

#Time Complexity: O(N)
#- while : s와 e가 만날때까지 최대 N번 반복된다. 각 반복에서의 연산들은 O(1)에 해당된다. -> O(N)


#Space Complexity: O(1)
#- s,e,max_area: 변수는 상수로 작용된다 -> O(1)
Comment on lines +14 to +19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이번 한주도 수고하셨습니다..!

####
#
#
class Solution(object):
def maxArea(self, height):
"""
:type height: List[int]
:rtype: int
"""
max_area = 0 #Saving for answer
s,e=0,len(height)-1 #Assign the first index and last index
while s<e:
area = (e-s) * min(height[s],height[e]) #Current area using e,s
max_area = max(area, max_area) #Re-assing the max_area comparing with area
if height[s]< height[e]:
s+=1
else:
e -=1
return max_area


121 changes: 121 additions & 0 deletions design-add-and-search-words-data-structure/Jay-Mo-99.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21 @@
# 해석
# 0. TrieNode 클래스 정의:
# - 각 TrieNode 인스턴스는 다음의 두 가지 속성을 가진다:
# 1) children: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들을 저장하는 딕셔너리 (문자 -> TrieNode 인스턴스).
# 2) is_end_of_word: 현재 노드가 단어의 끝인지 나타내는 Boolean 값.

# 1. WordDictionary 클래스 정의:
# - WordDictionary 클래스는 Trie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단어를 저장(addWord)하고 탐색(search)한다.

# 1-1. __init__ 함수:
# - root는 TrieNode 클래스로 생성된 인스턴스를 가진다.
# - Trie 자료구조의 시작점(루트 노드) 역할을 한다.

# 1-2. addWord 함수:
# 1) 루트 노드(self.root)에서 시작.
# 2) 단어의 각 문자를 순회하며:
# - 현재 노드의 children에 문자가 없으면, 새 TrieNode를 생성해 추가.
# - 현재 노드를 해당 문자의 자식 노드로 이동.
# 3) 단어의 마지막 문자를 처리한 후, 해당 노드의 is_end_of_word를 True로 설정.


# 1-3. search 함수:
# - 주어진 단어가 Trie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함수.
# - 와일드카드 문자(.)를 처리할 수 있다.
# - 내부적으로 dfs(깊이 우선 탐색) 함수를 사용하여 트라이를 탐색.
# - dfs(index, node):
# 1) 종료 조건: index가 단어 길이에 도달하면, 현재 노드의 is_end_of_word 반환.
# 2) 현재 문자가 '.'인 경우:
# - 현재 노드의 모든 자식 노드에 대해 dfs를 호출.
# - 하나라도 True를 반환하면 True 반환.
# 3) 현재 문자가 일반 문자인 경우:
# - 자식 노드에 문자가 없으면 False 반환.
# - 자식 노드로 이동해 dfs를 재귀 호출.



#Big O
# - N: 저장된 모든 단어의 총 문자 수 (Trie에 저장된 모든 문자의 개수).
# - C: 알파벳의 개수 (영어 기준 최대 26).

#Time Complexity: O(N)
#- addWord함수 : N에 기반하여 단어 추가
#- searchWord 함수:
# - 일반 탐색: O(n), n은 단어의 길이.
# - 와일드카드 탐색: 최악의 경우 O(C^N),
# - C는 알파벳 개수 (최대 26).
# - N은 단어의 길이. 와일드카드 문자가 많을수록 모든 경로를 탐색해야 할 수도 있음.

# - Space Complexity: O(N × C)
#
# - 각 노드는:
# 1) children 딕셔너리를 통해 자식 노드를 저장 (메모리 사용).
# 2) is_end_of_word 변수 (Boolean 값, O(1)).
# - Trie에 저장된 단어의 문자 수가 많을수록 메모리 사용량 증가.

class TrieNode:
def __init__(self):
self.children = {} #알파벳 a부터 z까지를 자식으로 가짐, 크기 26의 배열이나 딕셔너리를 사용.
self.is_end_of_word = False #어떤 단어의 끝인지 나타내는 Boolean 값
#예를 들어, "note"이라는 단어의 'e'에 해당하는 노드의 is_end_of_word가 True, 'n'

class WordDictionary:
def __init__(self):
self.root = TrieNode() # WD로 생성된 인스턴스.root = TrieNode 인스턴스

def addWord(self, word: str) -> None:
node = self.root #node에 self.root를 부여
for char in word: # 매개변수 word를 하나씩 순회하며 char에 저장 (예: word="note" -> char="n", "o", "t", "e")
if char not in node.children: # 만약 char가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 목록에 없다면
node.children[char] = TrieNode()
#node.children[char]을 TrideNode 인스턴스로 생성
# self.root.children = {
# "n": TrieNode() # "n" 키가 추가되고, 값으로 새로운 TrieNode 인스턴스가 들어감
# }

#Example1:
#root
#└── "n" (children={}, is_end_of_word=False)

#Example2:
#└── "n" (children={}, is_end_of_word=False)
# └── "o" (children={}, is_end_of_word=False)
node = node.children[char] #node를 현 node의 children[char]로 이동
#Example1:
# node = node.children["n"]

#Example2:
# node = node.children["o"]
node.is_end_of_word = True
#After for loop, 끝 노드의 is_end_of_word를 True로 전환

#Example 4:
#root
#└── "n"
#└── "o"
#└── "t"
#└── "e" (children={}, is_end_of_word=True)

def search(self, word: str) -> bool:
def dfs(index, node): # DFS 함수 정의
# 1) 종료 조건: 모든 문자를 탐색한 경우
if index == len(word):
return node.is_end_of_word # 단어 끝 여부 반환
# 2) 현재 문자 처리
char = word[index]
if char == '.': # 2-1) 와일드카드인 경우
for child in node.children.values(): # 모든 자식 노드 탐색
if dfs(index + 1, child): #dfs를 재귀호출 하여 다음 노드로 탐색 재개
return True #재귀 이후에 있으면 True
return False #없으면 False
else: # 2-2) 일반 문자 처리
if char not in node.children: # 현재 문자가 자식 노드에 없는 경우 False
return False
return dfs(index + 1, node.children[char]) # 다음 노드로 이동하여 탐색

return dfs(0, self.root)
#1. def dfs를 self.root 위치에서 첫 호출.




57 changes: 57 additions & 0 deletions valid-parentheses/Jay-Mo-99.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7 @@
 #해석
#매개변수 string s의 각 character인 c 가 open bracket이면 temp 리스트에 추가한다.
#c가 close bracket이면 temp의 마지막 element와 짝이 맞는지 검사한다. 짝이 아니거나 temp에 아무 요소도 없으면 return false
#검사 이후 temp에 잔여 요소가 남아있으면 짝이 맞지 않았다는 뜻이니 return false, 아닐 경우 return true
#

#Big O
#- N: 문자열 s의 길이

#Time Complexity: O(N) = O(N) + O(1)
#- for c in s : string s의 character의 수 만큼 진행된다. -> O(N)
#-temp.append(c), temp.pop() : 리스트 연산은 상수 취급 -> O(1)

#Space Complexity: O(N)
#- temp : list temp은 최대 string s의 character수 만큼 요소를 저장할 가능성이 있다.


class Solution(object):
def isValid(self, s):
"""
:type s: str
:rtype: bool
"""
temp = []
for c in s:
#If c is Open bracket, append to the list
if (c == "(") or (c=="{") or (c=="["):
temp.append(c)
#If C is Close bracket, Check the close bracket pairs with last elememt of temp list
else:
#There's no element in the tmep, Return false
if(len(temp)==0):
return False

if(c==")") and (temp.pop()=="("):
continue
if(c=="}") and (temp.pop()=="{"):
continue
if(c=="]") and (temp.pop()=="["):
continue
else:
return False

#After loop, Check temp is empty or not.
#If all c of s is pairs each other, the temp list is empty.
if (len(temp) == 0) :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Comment on lines +46 to +49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안녕하세요, @Jay-Mo-99 님,
개인 선호 차이인것 같습니다만, 아래와 같이 마무리해도 좋을것 같습니다. 😀

Suggested change
if (len(temp) == 0) :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return len(temp) == 0

또는

Suggested change
if (len(temp) == 0) :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return not temp

Copy link
Contributor Auth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return에 바로 조건문을 입력하면 코드 수를 줄일수 있군요. if~else 구조 대신에 자주 사용해보도록 해봐야 겠어요. 피드백 감사합니다.









Loading